728x90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2672 아브라함은 언제 어떤 상황에서 가나안 땅으로 떠났는가? 아브람의 아버지 데라는 갈대아 우르를 떠나 가나안 땅으로 가고자 했다. 그런데 ‘하란’ 땅에 도착한 이후에 그 땅에서 죽을 때까지(행7:4) 눌러 앉았다. “데라는 나이가 이백오 세가 되어 하란에서 죽었더라”(창11:32) 그런데 왜 데라는 하란 땅에 그냥 눌러 살았을까? 갈대아 우르에서 하란까지는 960km다. 서울에서 부산까지가 500km인데 그 왕복 거리다. 그에 비해 하란에서 가나안까지는 640km다. 거리상으로 보면 갈대아 우르에서 하란보다 하란에서 가나안까지가 훨씬 가깝다. 그런데도 데라가 가나안을 향해 떠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익숙함과 낯섦의 차이였을 것이다. 유대 전승에서는 본래 데라가 살던 곳이 하란인데 아브라함을 낳고 갈대아 우르로 떠났다가 다시 본 고장으로 돌아왔다고 전한다.1) 그.. 2021. 7. 7. 아사가 그의 조상 다윗같이(왕상15:1-34) 이스라엘의 초대 왕에 이어 다윗이 2대 왕국을 건설한 이후에 그 아들 솔로몬 때에 이스라엘의 통일왕국은 가장 강성한 왕국이 되었습니다. 그것은 솔로몬이 통치를 잘 해서가 아니라 그 아버지 다윗이 하나님의 율례와 법도를 잘 지켰던 까닭입니다. 물론 다윗도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를 범하고 그 남편 우리아를 최전방에 보내서 적의 갈에 죽게 만드는 살인죄까지 저질렀지만, 정말로 그 모든 죄를 눈물로 회개하며 다시금 하나님 앞에 바른 길을 좇았던 다윗이었기에, 그 후대를 영원토록 견고하게 해 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바로 그 언약에 기초하여 솔로몬의 시대에 세계 최강의 왕국을 세워주셨던 것입니다. 문제는 그 아들 솔로몬이 집정 후반기에 물질적인 타락, 도덕적인 타락, 그리고 영적인 타락의 길에 들어섰을 때, 통일왕국.. 2021. 7. 7. 방직공장 전기모터 일이 미세전자기계시스템 모터 작동 원리였다 안종혁 교수의 〈길갈〉. 이 책은 자신의 죄와 수치와 슬픔을 주님께서 다 굴러가게 해 주신 간증을 기록한 책이다. 전남 보성 출신인 그는 첫돌이 지난 3개월 만에 자기 아버지를 여의였다. 그는 초등학교 4학년때까지 사촌형을 부르지 못해 “혀, 혀, 혀, 형...” 할 정도로 말더듬이로 살았다. 그런데 그 말더듬이 때문에 오히려 논리력과 표현력과 사고력을 키울 수 있게 되었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좋은 선생님을 만나, 그분의 칭찬과 격려로 인해 말더듬이도 졸업했고, 공부로 잘했다. 중학교 때는 10km나 떨어진 거리의 학교, 왕복 20km를 걸어다니면서 학교를 다녔다. 그후 전주공업고등학교 전기과를 졸업하고, 서울 영등포의 방직공장에서 전기배관공으로 첫 직장에 다녔다. 그때 몇 년동안 방직공장에서 일하는 .. 2021. 7. 6. 주께서 그 마음을 열어(행16:11-15) (설교열기)(나예)초등학교 저학년 때였던 걸로 기억해요. 그때 담배에 대한 호기심이 생긴 때였죠. 그래서 시골 친구의 옆집 부엌에 들어가 네 명이서 담배를 한 모금 빨아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담배를 입에 대 본 순간이었죠. 그날 호기심으로 한 모금을 빨아봤는데, 그때 콜록콜록한 그 기분이 너무 좋지 않아, 그 다음부터 입에 대지 않았죠. 그또한 주님의 은혜였지 않나 싶습니다. 그런데 저를 포함해 네 명의 친구가 그날 호기심으로 담배 한 모금을 빨았는데, 그 이후에 어떻게 되었을까요? 그 네 명의 친구들 중에 중고등부를 거쳐 청년기에 이르까지 저 혼자 주님을 믿는 자녀가 되었습니다. 다른 세 명의 친구는 모두 주님과 무관하게 살았습니다. 물론 그 중에 두 명은 어두운 세계에 .. 2021. 7. 6. 왜 노아는 함이 아닌 가나안을 저주했는가? "노아가 술이 깨어 그의 작은 아들이 자기에게 행한 일을 알고 이에 이르되 가나안은 저주를 받아 그의 형제의 종들의 종이 되기를 원하노라 하고"(창9:24-25) 노아가 술에 취해 벌거벗었을 때 함이 발견하고 난 후 형제들에게 까발렸다. 그런데 야벳과 셈은 아버지의 수치를 덮어줬다. 마치 아담과 하와에게 가죽옷으로 감싸주신 하나님의 긍휼을 떠올리게 하는 모습이다. 그런데 그 후에 노아가 함의 아들 ‘가나안’을 저주했다. 왜 그랬을까? 합리적 유추가 힘든 성경난제를 해석하는 데는 두 가지 원칙이 있다. 하나는 하나님의 성품에 바탕을 두고 접근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다른 구절을 참조하고 영적 원리에 비춰서 접근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노아는 왜 함의 아들 ‘가나안’을 저주했을까? 하나님의 성품에 비춰본다면.. 2021. 7. 6. 르호보암의 어머니 이름은 나아마요 암몬 사람이더라(왕상14:1-31) 솔로몬의 타락으로 인해, 그 아들 르호보암의 시대에 하나님께서는 통일왕국을 두 나라로 쪼갰습니다. 이른바 남쪽은 유다와 베냐민 지파를 중심으로 남유다 왕국으로, 북쪽은 10개 지파가 뭉쳐서 북 이스라엘 왕국을 세웠습니다. 남 왕국 유다는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이, 북왕국 이스라엘은 솔로몬의 부하 장수였던 여로보암이 왕이 되어 다스렸습니다. 그래서 북 왕국 이스라엘의 왕이 된 여로보암을 향해 하나님께서는 이미 선지자 아히야를 통해 말씀한 바가 있습니다. “네가 만일 내가 명령한 모든 일에 순종하고 내 길로 행하며 내 눈에 합당한 일을 하며 내 종 다윗이 행함 같이 내 율례와 명령을 지키면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내가 다윗을 위하여 세운 것 같이 너를 위하여 견고한 집을 세우고 이스라엘을 네게 주리라”(왕상1.. 2021. 7. 6. 시내산 언약식 때 나눈 식사는 예수님의 성만찬과 같다 “하나님이 이스라엘 자손들의 존귀한 자들에게 손을 대지 아니하셨고 그들은 하나님을 뵙고 마셨더라.”(출24:11) 하나님께서 시내광야에 당도한 이스라엘 백성들 가운데 모세와 아론을 비롯해, 이스라엘을 대표하는 70명의 장로를 시내산에 불러 언약식을 체결했다. 그 언약식을 체결한 시점은 이집트를 나온 지 3개월째 되던 날, 곧 오순절 날이었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하나님께서 땅의 주관자요, 바다의 주관자요, 하늘의 주관자요, 전쟁의 주관자임을 직접 체험했다. 그런 체험 후에 하나님께서는 그들과 언약식을 체결했다. 그때 ‘열 마디 말씀’ 곧 십계명을 비롯해 여러 율례와 법도도 주셨다. 그러자 이스라엘 백성은 그 모든 말씀과 법도를 준행할 것이라고 화답을 했고, 곧바로 번제와 화목제를 드렸다. 그러자 모세는.. 2021. 7. 5. 왜 출애굽한지 3개월째 되던 날에 십계명을 주셨을까? “하나님이 이 모든 말씀으로 말씀하여 이르시되 나는 너를 애굽 땅, 종 되었던 집에서 인도하여 낸 네 하나님 여호와니라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출20:1-3)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주신 십계명의 제1계명이다. 그들이 이집트의 고센 땅을 떠난 지 3개월째 되던 날에 주신 명령이다. 개신교에서는 3절 말씀을 제1계명으로 삼고 있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지금도 1-2절 말씀을 제 1계명으로 삼고 있다. 이유가 뭘까? 그들이 자유를 얻게 된 뿌리와 같은 말씀이기 때문이다. 400년간 종살이하던 그들이 해방을 맞이하게 된 것이 전적인 하나님의 역사였기 때문에. 그래서 다른 어떤 계명보다 그 말씀을 십계명의 근간으로 삼게 된 것이다. 그런데 왜 하필 3개월째 되던 날에 그 계명을 주셨을까? 그 .. 2021. 7. 5. 이전 1 ··· 319 320 321 322 323 324 325 ··· 334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