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IST
google-site-verification=bWsZs7W0_gSPuMoDXujZISVmSBQHlpw3IxoqFPAwWOg
역대상 1장은 아담에서부터 아브라함을 거쳐 에서의 후예들에 관한 족보를 기록하고 있었죠. 하나님의 관심이 이방 세계에까지 뻗어 있음을 보여주는 말씀이었죠. 역대상 2장부터 야곱 곧 이스라엘의 12지파에 관한 족보를 기록했는데, 하나님의 사랑이 이제 이스라엘에 집중돼 있음을 밝히고자 함이었죠. 그 야곱의 12 아들들 가운데 장자가 르우벤인데, 유다를 맨 먼저 앞세운 것은 역대기의 기록 목적 때문이라고 했죠. 포로 후에 돌아온 유다 백성 곧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 옛날 다윗 왕조의 흥한 역사와 성전을 중심으로 잃어버린 나라를 재건코자 함에서 말입니다. 그래서 다윗 왕조의 선조인 유다 지파를 맨 먼저 언급한 것이었죠. 그리고 어제 살펴 본 역대상 3장에는 전반부에 다윗의 자녀, 중반부엔 솔로몬과 남유다 왕들, ..
역대기상 1-9장까지는 아담에서 아브라함을 거쳐 야곱 곧 이스라엘의 12 지파들의 족보를 기록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 중 역대상 1장은 아담에서부터 시작해 아브라함과 이삭을 거쳐, 이삭의 아들 에서와 에서의 자손들 가운데 왕이 된 사람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고, 역대상 2장에서는 야곱 곧 이스라엘의 아들들에 관해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유다 지파를 맨 먼저 언급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 유다 지파에 관한 계보를 4장 23절까지 계속 잇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는 이미 살펴봤습니다. 역대기는 북이스라엘이 멸망하고, 남유다가 바벨론에 1차, 2차, 3차에 걸려 끌려갔는데, 그 포로생활 70년이 찰 때 중간에 바벨론 제국이 바사 곧 페르시아 제국에 의해 무너졌죠. 그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권자인 ..
역대상 1-9장까지는 아담에서 아브라함을 거쳐 야곱 곧 이스라엘의 12 지파들의 족보를 기록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 중 지난 시간에 읽은 역대상 1장에는 아담의 계보에서부터 시작해 아브라함, 그리고 에서의 계보까지 잇고 있었습니다. 그 이름만 해도 200여 명의 이름이 올라와 있었는데, 그 이름 하나 하나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는 의미있는 이름이듯이, 우리도 우리가 아는 사람들에게도 의미있는 인생, 하나님 앞에서도 착하고 충성된 종의 삶을 살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것만이 우리가 아는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한 컷의 영상’으로 기억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읽은 본문도 실은 한 사람, 한 사람의 이름을 기록하면서 족보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만 1장에 기록된 족보와 비교하면 사뭇 다른 ..
오늘부터 역대기 상하서를 살펴보게 됩니다. 본래 히브리어 성경은 역대기 상권과 하권이 한 권의 두루마리로 돼 있었습니다. 그래서 역대기의 히브리어 제목도 ‘디브레 하야밈’인데 역대상 27장24절의 ‘날들의 사건들’이란 히브리어 본문 자체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날들의 사건들’이 우리말 ‘역대기’와 유사한 면이 있는 것이죠. 그랬던 ‘디브레 하야밈’이란 책제목이 헬라제국의 알렉산더 대왕이 통치할 때 72명의 학자들로 하여금 히브리어 성경을 헬라어로 번역하게 했는데, 그때 편찬한 책을 70인역 또는 셉투아젠트라 하는데, 그 책을 편찬하면서부터 역대기 상하서 두 권이 된 것입니다. 그렇다면 역대기상하서는 누가 쓴 것일까요? 성경학자들은 보통 에스라가 쓴 것으로 추정을 합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에스라서와 느헤..
일제강점기 36년 후에 광복을 맞이한 우리나라는 광복의 기쁨을 갖는 것도 잠시, 곧바로 남과 북으로 나뉘어 극심한 내분을 겪었죠. 그 뒤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남북을 나누어 북쪽은 소련군이 남쪽은 미군이 주둔하여 군정을 실시했죠. 그것이 고착화되어 남한과 북한 내에 독자 정부가 들어섰는데, 후에 북한은 무력으로 적화통일을 이루고자 남한을 쳐들어왔고, 그와 같은 6.25 한국전쟁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갔죠. 그처럼 우리나라의 역사만 봐도 우리의 자주적인 의지보다는 주변 강대국의 입김에 좌지우지되던 때가 더 많았죠. 이것은 비단 우리나라만 해당되는 게 아니라 성경에 등장하는 남왕국 유다도 마찬가지였죠. 오늘이열왕기하 마지막 시간인데, 우리가 계속 살펴본 북이스라엘도, 그리고 남유다도 그랬죠. 통일왕..
히스기야 왕과 더불어 대대적인 종교개혁을 일으켰던 왕은 요시야였죠. 그런 요시야 왕과는 달리 그 아들 여호아하스는 악한 길을 좇아 행했죠. 그런 여호아하스를 애굽 왕 바로 느고가 쳐들어와 잡아갔고, 대신에 요시야 왕의 다른 아들인 엘리아김을 왕으로 삼아 그 이름을 여호야김으로 칭하게 했죠. 그런데 갑작스레 왕이 된 여호야김은 바벨론과 손을 잡고 나가라는 하나님의 선지자 예레미야의 말을 무시한 채 애굽과 손을 잡으려다가 바벨론 군대에 함락당하고 포로로 끌려갔죠. 그리고 여호야김의 아들인 여호야긴이 왕이 되는데, 그도 아버지를 좇아 악을 행했죠. 그 결과 아버지처럼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갔는데,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은 여호야긴의 숙부 맛다니야를 왕으로 앉혀 그 이름을 시드기야로 칭하게 했죠. 그 시드기야가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