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IST
google-site-verification=bWsZs7W0_gSPuMoDXujZISVmSBQHlpw3IxoqFPAwWOg
어제 우리는 베냐민 지파를 살펴봤습니다. 베냐민은 야곱의 막내아들로 태어났고, 태어나는 순간 그 어머니 라헬도 죽었죠. 어미의 젖도 빨지 못한 상태 속에서 태어난 베냐민의 출생이 얼마나 암울했겠습니까? 그러나 시작이 작고 미약해도 그 끝을 아름답고 선하게 가꾼 족속이 베냐민 지파였죠. 야곱이 12 아들을 축복할 때 베냐민을 향해서는 ‘물어뜯는 이리’라고 했죠. 그만큼 과격함을 지닌 게 분명했건만 그들은 그 단점을 용감함으로, 곧 장점으로 승화시켰던 지파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족속들이 바벨론 포로로 끌려가 70년이 지나 다시금 고국으로 돌아올 때 다른 어떤 지파들보다도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고국으로 돌아왔던 지파가 바로 베냐민 지파였습니다. 그만큼 그들은 하나님의 언약을 믿고 하나님 앞에 밀알로..
어제 역대상 7장에 기록된 여섯지파의 족보를 살펴봤습니다. 잇사갈, 베냐민, 납달리, 므낫세, 에브라임, 그리고 아셀지파의 족보가 그것이었죠. 그들의 족보를 한꺼번에 기록한 이유가 있었죠. 그 지파들이 실은 가나안 땅의 북쪽 지역에 자리잡은 족속들이었습니다. 물론 단과 스불론 지파도 그 6개 지파와 함께 북쪽에 자리잡은 지파였지만 두 지파는 뺐습니다. 실수가 아니라 의도였죠. 그것은 북쪽 지파들에 대한 역대기 기자의 관점 때문이었죠. 이른바 역대기의 관점이 패망한 이스라엘을 재건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고, 그 중심을 다윗의 왕조사와 함께 성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그러니 남유다 왕국의 중심에서 벗어난 북쪽 지파들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이상하게 보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 이스라엘을 하나로 연합하는..
역대상 1장은 아담에서부터 아브라함을 거쳐 에돔의 후손을 살펴봤는데, 하나님의 관심이 이방 세계에까지 퍼져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그리고 2장부터 본격적으로 야곱의 12아들 곧 이스라엘의 12지파에 관한 계보를 보여주는데, 그 누구보다도 유다 자손부터 언급했죠. 왕족의 후예에 관심을 표방한 것으로, 패망한 이스라엘을 유다의 후손인 다윗 왕을 중심으로 나라를 세워가자는 뜻이었죠. 그래서 3장에선 다윗과 솔로몬의 아들들 그리고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왕족들까지 밝혀줬고, 4장에선 왕족이 아닌 명문가 집안의 계보를 기록해줬는데, 그 중 야베스와 같은 인물도 있었죠. 5장에선 요단강 동편의 르우벤과 갓과 므낫세 반 지파의 계보를 살펴봤고, 6장에선 레위지파 가운데 대제사장직을 맡은 아론의 후예들과 일반 제사직을 ..
어제 읽은 1-30절까지는 레위의 세 자녀들 가운데 대제사장직을 맡았던 계보와 일반 제사를 담당했던 계보를 밝혀주고 있었습니다. 사실 레위는 시므온과 함께 하나님의 할례를 빙자해 세겜 족속을 도륙내는 죄악을 범했고, 그 일로 인해 아버지 야곱으로부터 저주의 예언을 받았었죠. 하지만 시내광야에서 하나님께 헌신을 할 때 제사장 지파로 기사회생하지 않았습니까? 그 후에 태어난 자손들 가운데 대제사장의 계보를 잇는 고핫 자손들이 있고, 그 고핫 자손 중에는 고라와 같은 반역을 꾀한 족속도 있고, 또 사무엘 같은 위대한 제사장이자 선지자도 있었음을 살펴봤습니다. 그렇기에 하나님께서는 연약한 레위지파 족속들까지도 품으셔서 당신과의 관계를 바르게 엮어나도록 당신의 도구로 사용하셨습니다. 오늘날에는 구약의 혈통 중심의..
역대상 1장에서 아담부터 아브라함을 거쳐 에서의 후예들에 관한 족보를 살펴봤고, 역대상 2장에서 야곱의 후예 곧 이스라엘의 12지파 족보 가운데 맨 먼저 유다 자손의 계보를 살펴봤죠. 역대상 3장에서 유다 자손의 계보 중에 다윗의 자녀와 솔로몬 그리고 남유다 왕들과 포로후기의 왕족들을 살펴봤습니다. 역대상 4장에서는 유다 자손 가운데 왕족이 아닌 유력자 계보 그리고 그 유다 족속의 지역에 흡수된 채 살고 있는 시므온 족속도 살펴봤죠. 어제 읽은 역대상 5장에서는 가나안 땅을 기준으로 요단강 동편에 살고 있던 르우벤과 갓과 므낫세 반 지파에 관한 내용을 생각해 봤습니다. 오늘은 이스라엘의 12지파 가운데 레위 자손의 계보에 관한 말씀입니다. 맨 먼저 유다의 계보를 왕족과 유력자 중심의 가문으로 살펴봤고, ..
역대상 1장은 아담부터 아브라함을 거쳐 에서의 후예들에 관한 족보를, 역대상 2장은 야곱의 후예들 곧 이스라엘의 12지파 족보 가운데 장자 르우벤이 아닌 유다 자손의 계보를, 역대상 3장은 유다 자손의 계보 가운데 다윗의 자녀와 솔로몬 그리고 남유다 왕들과 포로후기의 왕족들을, 그리고 역대상 4장은 유다 자손 가운데 왕족이 아닌 유능한 인물들의 계보와 함께 유다 족속의 지역에 흡수돼 살고 있는 시므온 족속까지 살펴보면서, 그 의미와 뜻들을 함께 살펴봤습니다. 오늘 읽은 역대상 5장은 가나안 땅을 기준으로 요단강 동편에 살고 있던 르우벤과 갓과 므낫세 반 지파에 관한 말씀이 기록돼 있습니다. 1-10절까지가 야곱의 장자 곧 이스라엘의 12지파의 장자인 르우벤 자손의 계보, 11-22절까지가 갓 자손의 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