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바울은 2차 선교여행 때 드로아에서 배를 타고 일행과 함께 마게도냐로 건너가죠.
그 첫 성읍인 빌립보의 강가에서 루디아에게 복음을 전하고 그녀의 집에서부터 빌립보교회가 태동이 되죠.
그후 데살로니가로 가서 야손의 집을 거쳐 삼아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세우죠.
하지만 유대 율법주의자들이 시장 주변의 일용직 노동자와 실직자를 동원해 폭동을 일으키죠.
그때 바울은 베뢰아로 가서 복음을 전하다가 몇몇 형제들과 함께 항구 피드나(Pydna)에서 배를 타고 아테네로 건너 가죠.
바울이 아테네에서 복음을 전할 때 디모데와 실라를 재회하지만 다시금 둘을 데살로니가와 빌립보로 각각 보내죠.
그후 바울이 고린도에서 와서 복음을 전할 때 둘을 만났는데 디모데로부터 데살로니가교회 상황을 전해 듣고 데살로니가전후서를 쓰게 됩니다.
신생 데살로니가교회를 향해 바울이 어떤 마음으로 편지를 썼을까요?
하나님의 시간표 | 권성권 | 유페이퍼- 교보ebook
이 책은 지난 몇 년간 설교 말씀을 통해 나눈 예화다. 예화는 설교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다. 말씀의 이론을 실제화할 수 있는 간증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예화는 설교에서 중요한 몫을 차지하
ebook-product.kyobobook.co.kr
“또 형제들아 너희를 권면하노니 게으른 자들을 권계하며 마음이 약한 자들을 격려하고 힘이 없는 자들을 붙들어 주며 모든 사람에게 오래 참으라”(살전5:14)
‘게으른 자들’은 헬라어로 ‘아타카토스’(ἄτακτος)로 무질서하고 난폭한 이들을 뜻합니다.
‘마음이 약한 자들’은 ‘올리고쉬코스’(ὀλιγόψυχος)로 ‘소심한 사람’을 말하죠.
‘힘이 없는 자들’은 ‘아스테네스’(ἀσθενής)로 ‘나약한 자’입니다.
새로 생긴 데살로니가교회가 그런 성도들로 인해 서로 간에 힘들었다는 뜻입니다.
바울은 그들로 인해 성도들이 힘들긴 하지만 서로가 붙들어 주며 ‘오래 참으라’고 권면하고 있는 것이죠.
그런데 우리말 ‘오래 참다’는 헬라어 ‘마크로쉬메오’(μακροθυμέω)는 ‘멀리 떨어진’을 뜻하는 ‘마크로스’(μακρός)와 ‘화’를 뜻하는 ‘쉬모스’(θυμός)의 합성어입니다.
문자 그대로 ‘분노를 멀리하다’는 뜻이죠.
그런데 ‘쉬모스’ 인간의 분노와 더불어 ‘하나님의 진노’를 의미(롬2:8, 계 15:1)하기도 합니다.
더욱이 ‘쉬모스’는 ‘제물을 바치다’는 의미의 ‘쉬오’(θύω)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유월절 어린 양이신 예수 그리스도(막14:12a, 고전 5:7b)를 칭할 때도 사용됐죠.
‘오래 참는다’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
죄에 대해 분노하면서도 희생제물되기까지 참으신 예수님의 인내를 말하는 것입니다.
바울도 30년 넘게 자신을 향해 오래도록 참아주신 주님의 사랑을 알기에 데살로니가교회 성도들 서로가 오래참으라고 권면하고 있는 것입니다.
역전케 하시는 하나님 | 권성권 | 북팟- 교보ebook
하루 한 장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묵상하기역대기서가 무너진 유다의 재건 곧 패망한 이스라엘의 재건을 꿈꾸는 설계도와 같다면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는 실제로 재건하는 건축행위와 같다
ebook-product.kyobobook.co.kr
728x90
반응형
LIST
'주일설교SundaySerm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상 기뻐하라(살전5:14-18)_2024년11월24일 주일설교문 (2) | 2024.11.21 |
---|---|
범사에 감사하라(살전5:14-18)_2024년 11월 17일 추수감사주일설교문 (7) | 2024.11.15 |
모든 사람에게 오래 참으라(살전5:14-18)_2024년 11월 10일 주일설교 (7) | 2024.11.08 |
트럼프 해리스 왜 유대인 눈치 봐야 하나(신6:6-8)_2024년11월3일주일설교핵심내용동영상 (3) | 2024.11.02 |
네 손목에 매어(신6:4-9)_2024년 11월 3일 주일설교 (1) | 2024.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