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bWsZs7W0_gSPuMoDXujZISVmSBQHlpw3IxoqFPAwWOg 항상 기뻐 쉬지 말고 기도 범사 감사(살전5:1-28) google-site-verification=bWsZs7W0_gSPuMoDXujZISVmSBQHlpw3IxoqFPAwWOg
 

항상 기뻐 쉬지 말고 기도 범사 감사(살전5:1-28)

반응형

 

오늘은 데살로니가전서의 마지막 장입니다. 데살로니가교회는 바울이 2차 전도여행 때 빌립보 다음으로 들어간 성읍인데, 그 당시 마게도냐의 수도라고 했죠. 인구가 20만 명이 넘게 살고 있어서 유대인 회당이 있었고, 그곳에 들어가 복음을 전했지만 헬라인과 귀부인 이외에 유대인들은 죄다 거부했다고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바울 일행이 머물고 있는 야손의 집에까지 처들어가 그 유대인들이 난동을 피웠다고 했죠. 그 일로 야손과 몇 몇 성도들이 붙잡혀 들어갔다가 보석금을 내고 풀려났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3주 근 한 달도 못 돼서 그곳을 빠져나왔죠.

그러니 어떻겠습니까? 이제 갓 영적으로 태어난 영적 신생아와 같은 데살로니가교회 성도들을 보면 마음이 아플 수밖에 없겠죠. 그래서 바울은 데살로니가에서 베뢰아로, 베뢰아에서 아테네로, 그리고 아테네에서 고린도로 옮겨와서 1년 반 동안 머물면서 복음을 전했지만, 마음 한 켠에 쏠려 있는 데살로니가교회 성도들을 잊지 못했죠 그래서 아테네에 있을 때엔 디모데를 보내서 그곳의 성도들을 안부를 묻고 위로하고 격려도 했죠. 그리고 지금은 더 보고 싶은 마음에 고린도에서 이 편지를 쓰고 있는 상황이죠.

그렇기에 바울이 어떤 마음을 담아 데살로니가전서를 써 보냈습니까? 그들이 비록 영적인 신생아지만 그들이 모든 궁핍과 환난 가운데서도 주님의 믿음과 사랑과 소망 안에서 굳게 신앙생활하고 있는 것을 듣게 되어서, 앞으로도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삶을 살면서, 천사장의 나팔소리와 함께 재림하시는 주님을 맞이할 자세로 깨어 있으라고 권면을 했던 것이죠.

 

오늘 읽은 5장의 내용이 바로 그것입니다. 본문 1-3절입니다. “형제들아 때와 시기에 관하여는 너희에게 쓸 것이 없음은 주의 날이 밤에 도둑 같이 이를 줄을 너희 자신이 자세히 알기 때문이라 그들이 평안하다, 안전하다 할 그 때에 임신한 여자에게 해산의 고통이 이름과 같이 멸망이 갑자기 그들에게 이르리니 결코 피하지 못하리라” 바울은 주님의 재림의 때와 시기에 관해서는 쓸 것이 없다고 말합니다. 왜죠? 그 당시 임박한 주님의 재림을 믿고 사는 이들이 있었던 것이죠. 그들은 그것에 대해 신경을 쓰며 살았기에, 언제 주님께서 재림하실지 늘 거기에만 초점을 맞추고 살았습니다. 심지어 그들 중에는 세상에 주어진 자기 신분과 일도 하지 않고 살면서 오히려 친인척들에게 민폐를 끼치며 사는 이들이 있었죠. 바울은 그들을 향해 또 이미 주님을 바르게 믿고 있는 이들을 향해 ‘주님의 재림의 때와 시기’에 대해서는 예수님께서 일러준 대로 권면했던 것입니다. 마태복음 13장에서 제자들이 언제 이 세상이 멸망할 것인지 물었을 때 주님께서 그렇게 대답했죠. “그 날과 그 때는 아무도 모르나니 하늘에 있는 천사들도, 아들도 모르고 아버지만 아시느니라 주의하라 깨어 있으라 그 때가 언제인지 알지 못함이라” 그 때는 오직 성부 하나님만 아시기 때문에, 너희들은 깨어 있는 게 상책이라고 대답해 주셨습니다. 바울도 오늘 그런 입장으로 임박한 종말론에 빠져 있는 자들에게 대답해 주는 것입니다.

 

[전자책]세상이 흔들릴수록 우직해야 - 예스24

우공이산(愚公移山)이란 말이 있다.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는 뜻이다.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우직하게 나아가다 보면 결국엔 뜻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다.오래전 신영복 교수의 책을 통

www.yes24.com

 

그렇다면 ‘깨어 있다’는 게 어떤 의미입니까? 4-8절에 이렇게 일러줍니다. “형제들아 너희는 어둠에 있지 아니하매 그 날이 도둑 같이 너희에게 임하지 못하리니 너희는 다 빛의 아들이요 낮의 아들이라 우리가 밤이나 어둠에 속하지 아니하나니 그러므로 우리는 다른 이들과 같이 자지 말고 오직 깨어 정신을 차릴지라 자는 자들은 밤에 자고 취하는 자들은 밤에 취하되 우리는 낮에 속하였으니 정신을 차리고 믿음과 사랑의 호심경을 붙이고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자” 어둠과 낮, 이것은 대조적인 말이죠. 오늘 본문에서는 낮과 어둠이 시간의 때를 말하는 게 아니죠. 영적인 상태를 일컫는 것이죠. 이것은 요한복음 1장에서 빛되신 예수님이 오셨어도 어둠에 사로잡힌 세상 영혼들이 그 빛되신 주님을 모시지 않는 것과 같은 의미죠. 더욱이 요한복음 9장에서 날때부터 소경을 고쳐주신 예수님께서 “때가 아직 낮이매 나를 보내신 이의 일을 우리가 하여야 하리라 밤이 오리니 그 때는 아무도 일할 수 없느니라”하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그때도 낮을 영적인 삶으로, 어둠을 밤으로 표현하셨습니다. 그래서 오늘 바울도 영적으로 이게 갓 깨어난 데살로니가교회 성도들을 밤과 어둠에 있지 않는 빛의 아들이요 낮의 자녀라고 강조하는 것이죠. 왜죠? 어떤 상태에 있든지 그들의 심령 속에 빛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모시고 살기 때문이죠. 오늘 우리도 깨어 있는 신앙인이 되는 것, 그런 깨어 있는 상태로 주님의 재림을 준비한다는 것은 우리의 심령에 빛 되신 주님을 모시고 동행하는 삶인 줄 믿습니다.

다만 이 험악한 세상에서 정신을 차리고 살 수 있는 길을 바울이 제시하죠. 8절 말씀처럼 “믿음과 사랑의 호심경을 붙이고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면서 사는 것이죠. 로마 시대의 병사들이 전쟁터에서 호심경으로 가슴을 보호했고, 머리를 투구로 보호했듯이 그 성도들에게 영적으로 그렇게 무장하고 살자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믿음과 사랑과 소망’을 갖고 영적으로 깨어 살라는 것이죠.

 

이제 12-15절까지는 영적으로 주님의 재림을 준비하는 성도들이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권면한 말씀입니다. 바울은 무엇보다도 성도들 간에 서로 사랑하고 화목하라고 권면하죠. 본문 12-13절입니다.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에게 구하노니 너희 가운데서 수고하고 주 안에서 너희를 다스리며 권하는 자들을 너희가 알고 그들의 역사로 말미암아 사랑 안에서 가장 귀히 여기며 너희끼리 화목하라” 이 땅에 많은 하나님의 교회들이 있는데 좋은교회도 있지만 좋지 않은 교회도 있죠. 좋고 좋지 않음의 기준이 뭘까요? 서로 사랑하고 화목하는 모습입니다. 초대 예루살렘교회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서로 사랑하고 화목했습니다. 그들은 서로의 필요에 따라 나눠줌으로 부족함을 채워주며 서로를 향한 섬김과 봉사의 삶을 살았죠. 그 모습을 보고 믿지 않는 세상 사람들이 감동을 받아 주님께 나왔죠. 하나님의 교회를 이루고 있는 우리들도 그런 모습을 좇아 살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죠.

바울은 14-5절에 이렇게 권면하죠. “또 형제들아 너희를 권면하노니 게으른 자들을 권계하여 마음이 약한 자들을 격려하고 힘이 없는 자들을 붙들어 주며 모든 사람에게 오래 참으라 삼가 누가 누구에게든지 악으로 악을 갚지 말게 하고 서로 대하든지 모든 사람을 대하든지 항상 선을 따르라” 이 말씀이 무슨 뜻입니까? 한마디로 자기 자신을 위해서만 살지 말고, 자기보다 약하고 힘이 없는 자들을 도우며 살라는 뜻입니다. 왜죠? 우리 주님께서 언제나 당신 자신을 위해 살지 않으셨고, 항상 남을 위해 사랑하고 섬기는 삶을 사셨기 때문이죠.

 

 

[전자책]야긴과 보아스 - 예스24

이 책은 하루 한 장씩 역대기를 읽어나가면서 새벽기도회 때 나눈 설교 말씀을 펴낸 것입니다.그것도 두 번에 걸쳐 설교한 내용을 연구하고 묵상해서 쓴 것입니다.이 책에는 사무엘서와 열왕기

www.yes24.com

 

그러면서 바울은 마지막에 성도들이 가져야할 구체적인 삶의 태도를 16-22절에 이렇게 권면합니다.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성령을 소멸하지 말며 예언을 멸시하지 말고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고 악은 어떤 모양이라도 버리라

우리가 참 좋아하는 말씀이죠. 그런데 이 말씀은 명령형으로 기록돼 있습니다. 주님께서 그것을 명령하셨다는 의미로 받아들이면 되겠죠. 왜죠? 불가능한 일이지 않기 때문이죠. 항상 기뻐하며 쉬지 않고 기도하며 범사에 감사하며 사는 삶이 힘들고 어려운 일임에 틀림 없죠. 하지만 하나님께서 우리의 삶을 아시고, 그 속에서도 기쁨과 감사와 기도를 잃지 말라고 하신 것입니다.

더욱이 베드로전서 5장 7절에서는 “너희 염려를 다 주께 맡기라 이는 그가 너희를 돌보심이라”하고 권면하죠. 그렇기에 독수리 날개로 우리를 품으시는 주님께 매일매일을 맡길 때, 우리 삶에 어려움 속에서도 주님이 주시는 기쁨과 감사와 기도가 넘쳐나게 하실 줄 믿습니다.

 

 

[전자책]역전케 하시는 하나님 - 예스24

역대기서가 무너진 유다의 재건 곧 패망한 이스라엘의 재건을 꿈꾸는 설계도와 같다면 에스라서와 느헤미야서는 실제로 재건하는 건축행위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그 속에서 페르시아의 고

www.yes24.com

 

마지막으로 바울은 ‘은혜와 평강’의 인사말로 끝맺습니다. 28절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오늘 우리가 존재하며 살아가는 것, 주님의 언약백성으로 살 수 있는 것도 하나님의 은혜가 우리 안에 계시기 때문이죠. 죄인이요 너어질 수 밖에 없는 연약한 우리가 그 속에서도 기뻐하고 기도하고 감사할 수 있는 거도 주님의 은혜와 평강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어떤 상황속에서도 하나님의 친밀한 언약백성임을 기억하면서, 그 분 안에 살아가는 것이죠. 그때 당신의 독수리 날개로 품어올려주실 줄 믿습니다.

오늘도 어떤 환경과 상황속에서도 주님의 날개 아래 거하면서, 주님의 은혜와 평강 속에 머무는 하루의 삶, 한 주간의 삶이 되시길 축복합니다.

728x90
LIST